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
♡아내와  나  사이♡

아내는 76이고
나는 80입니다.

지금은 아침저녁으로 어깨를 나란히 하고,

걸어가지만 속으로 다투기도 많이 다툰 사이입니다.

요즘은 망각을 경쟁하듯 합니다.

나는 창문을 열러 갔다가
창문 앞에 우두커니 서 있고,

아내는 냉장고 문을 열고서 우두커니 서 있습니다.

누구 기억이 일찍 들어오나 기다리는 것입니다.

그러나 기억은 서서히 우리 둘을 떠나고,

마지막에는 내가 그의 남편인 줄 모르고,

그가 내 아내인 줄 모르는 날도 올 것입니다.

서로 모르는 사이가
서로 알아가며 살다가
다시 모르는 사이로 돌아가는 세월,

그것을 무어라고 하겠습니까?

인생?

철학?

종교?

우린 너무 먼 데서 살았습니다...
        
오래된 미래’라는 말이 있습니다.

다가올 시간이지만
이미 충분히 예견된 탓에
낯설지 않은 미래를 이렇게 부릅니다.

노후(老後)야 말로 '오래된 미래’ 중 하나지요.

생로병사(生老病死) 라는 피해갈 수 없는 외길에서
지금의 이 단계를 지나면,

다음 코스에서는 뭐가 나올지 우린 다 알지요.

다 알기 때문에 오래되었고,

그럼에도 아직은 오지 않았기에
미래(未來)인 거지요.

지난 2019년 봄 평사리 최참판 댁 행랑채 마당에서
박경리 문학관 주최로

제1회 섬진강에 벚꽃 피면,

전국 시낭송대회’가 열렸습니다.

60여명이 참가한 이 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던 낭송시가
바로 이생진 시인의 이 작품입니다.

70대 중반쯤 되어 보이는
남성 낭송가의 떨리고,

갈라지는 목소리에 실려 낭송된 이 시는
청중들로 하여금 눈시울을 젖게 하였습니다.

좋은 낭송은

시 속의 ‘나’와

낭송하는 ‘나’와

그것을 듣는 ‘나’를
온전한 하나로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.

내 몸의 주인인 기억이
하나둘 나를 빠져나가서
마침내 내가 누군지도 모르게 되는 나이,

나는 창문을 열려고 갔다가
그새 거기 간 목적을 잊어버리고,

창문 앞에 우두커니 서 있고,

아내는 무엇을 꺼내려고 냉장고에 갔다가 냉장고 문을 열어놓은 채,

그 앞에 우두커니 서 있는 장면은
상상만 해도,

앞이 막막하고 울컥하지 않습니까?

시인은 차분하게
이 참담한 상황을 정리합니다.

우리의 삶이란?

“서로 모르는 사이가
서로 알아가며 살다가
다시 모르는 사이로 돌아가는 세월”
일 뿐이라고,

그리고 자책하는 목소리에 담아
우리를 나무라지요.

거창하게,

인생이니,

철학이니,

종교니, 하며
마치 삶의 본질이 거기에 있기나 한 것처럼 핏대를 올리는 당신들은
얼마나 어리석은가 하고,

진리는
가장 가까운 곳에 있었는데,

“우린 너무 먼 데서 살았습니다.”

그러므로,

‘아내와 나 사이’의 거리는,

우리의 어리석음을
가시적으로 보여주는
바로미터인 셈이지요.................!


>출 처  -<좋은글> 中에서-
>이미지 출처  - 무료이미지 픽사베이-



반응형

밝은 워터수